// 방법1 // 방법2
 

재해율,강도율,도수율,사망만인율등 정의와 계산기 및 다운로드

반응형

재해율, 강도율, 휴업재해율, 사망만인율, 도수율 등 우리는 사업장에서 , 또는 산업안전기사 및 건설안전기사에서 주로 사용하곤 합니다. 이 많은 산업재해통계에 대한 정의와 계산 공식, 헷갈리시죠? 저 또한 실무를 경험하며 산업재해통계에 대해 계산을 주로 다루진 않지만 종종 다루게 되곤 합니다. 바로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:)

 

산업재해통계 정의 및 계산기
산업재해통계 정의 및 계산기

 

산업재해통계 알아보기 

: 산업재해통계에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재해율, 강도율, 도수율 등 사업장에서 주로 사용하진 않지만 , 종종 다루고 하는 계산 공식입니다. 특히나, 재해율은 자신의 사업장에서 재해 건수에 대한 통계를 계산하기에 많이 다루실 수 도 있습니다. 이제 각각 하나씩 정의와 계산 공식에 대해 알아보고,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직접 사용 및 다운로드하실 수 있도록 제작해 보았습니다. 

 

 

재해율

ⓐ 임금근로자수 100명당 발생한 재해건수의 비율을 말합니다.

ⓑ 공식은 재해자수/임금근로자수 x100으로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.

재해율
재해율 공식

ⓒ 재해자수란 근로복지공단의 휴업급여를 지급받은 재해자를 말하며, 다만 질병에 의한 재해와 사업장 밖의 교통사고 체육행사 폭력 행위로 발생한 재해는 제외합니다.

 

※ 계산 공식은 안전관리자 산업안전기사 과목에 필수적인 문제로 나타납니다.

 

강도율

ⓐ 근로시간 합계 1,000시간당 요양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 수를 말합니다.

ⓑ 계산 공식은 (총 요양근로손실일 수/연근로시간 수) x1,000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. 

강도율
강도율 공식

ⓒ 총 요양근로손실일 수는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 

강도율 근로손실일수
강도율 근로손실일수

 

도수율

ⓐ 1,000,000 근로시간당 요 양해재발생 건수를 말합니다.

ⓑ 도수율(빈도율) = 요양재해건수/연근로시간수 x 1,000,000 공식으로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도수율 공식
도수율

 

휴업재해율

ⓐ 휴업재해자수란 근로복지공단의 휴업급여를 지급받은 재해자수를 말합니다.

ⓑ 휴업재해율 = (휴업재해자수/임금근로자수) x100 공식으로 아래와 같습니다.

 

휴업재해율 공식
휴업재해율

 

사망만인율

ⓐ 임금근로자수 10,000명당 발생하는 사망자수의 비율을 말합니다.

ⓑ 사망만인율 = (사망자수/임금근로자수) x10,000

사망만인율 공식
사망만인율

ⓒ 사망자수란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가 지급된 사망자와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가 제출된 사망자를 합산 한 수를 말합니다.

 

 

재해율, 강도율, 도수율, 휴업재해율, 사망만인율 계산기 및 다운로드

: 아래에서는 계산식을 적용해 보실 수 있습니다. 재해율, 강도율, 도수율, 휴업재해율, 사망만인율을 계산해 보세요. 

 

산업재해통계 계산기 다운로드

 

산업재해통계 계산기.exe
9.54MB

 

 

산업 재해율 계산기

강도율 계산기

도수율 계산기

사망만인율 계산기

휴업재해율 계산기

 

 

 

 

 

 

오늘도 긴 글 읽어주심에 감사드립니다. 

반응형